생활안전

새로워진 고용노동부 워크넷 로그인 방식 대단히 번거롭다

일상안전 2023. 12. 17. 01:12
728x90
반응형

대한민국 대표 정부 구직 포털사이트 워크넷

하루 이용자가 평균 100만에다가 회원 수 천만을 자랑하는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워크넷(work.net) 은 웹사이트뿐만 아니라, 모바일 홈페이지도 지원하고 있으므로, 구직을 희망하거나, 이직을 희망하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간단히 회원가입을 하고, 구직신청을 한 뒤, 제공되는 이력서 및 자기소개를 저장하고, 자신이 원하는 지역과, 직종과 희망연봉을 기재해 워크넷에 등재되어 있는 우량의 기업에 24시간 365일 연중무휴 지원할 수 있는 매우 공신력 있는 대한민국 구직 사이트다.

 

내일 배움제 카드란?

그리고 연령대별 다양한 구직 지원 프로그램을 지원하며, 자신의 적성과, 직무를 개발할 수 있도록 유관기관을 통해 지원받을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내일 배움 카드제가 있다. 내일 배움 카드제는 정부에서 근로자가 일정 기간, 일정 금액을 통해 자신이 자기개발을 통한 직무 능력을 개발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을 직접 지원하는 제도이며,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남녀노소 불문하고 누구하고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특히 시간이 부족해 오프라인 강의를 들을 수 없는 경우 내일 배움제를 시행하는 교육 사이트에다 발급받은 카드로 온라인 유료 강의 등도 수강할 수 있다.

 

구직신청하는 방법?

그리고 워크넷에서 구직신청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한데, 회원가입을 하고 난 뒤 이력서 및 자소서를 작성 저장한 뒤에 홈페이지, 마이페이지에 들어가 구직신청을 하면 되나, 보통 승인이 나면, 일반은 3개월, 장애가 있는 사람은 그 이상의 기간 동안 제한 없이 채용공고를 열람하고 취업을 원하는 해당 채용공고를 열람하고 이력서를 전송할 수 있어 편리하며, 한번 작성해 저장해 둔 이력서를 수정하거나, 복사 및 이동 저 저장 또한 간편하게 할 수 있으므로 한번 기록해 둔 문서는 자발적으로 삭제하지 않는 이상 영구적으로 재가공해서 사용할 수 있는 특징도 있다.

 

 

그리고 고용노동부 워크넷 방식이 2023. 년 갑작스러운 해킹 사건으로 인해 대다수의 회원 정보가 노출된 사건이 발생한 일이 있었는데, 당시만 해도 회원가입을 하고, 발급받은 아이디 패스워드를 이용해서 별다른 인증 없이 로그인을 자유롭게 할 수 있었지만, 최근에 로그인 방식이 인증 방식으로 바뀌는 바람에 사용법을 숙지하지 않고 있으면, 사실상 로그인하는 것조차 쉽지 않고, 설령 아이디로 로그인을 했다손 치더라도, 별도의 지정된 인증 절차를 거치지 않아면, 개인정보의 수정이라든지 구직신청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여기서 말하는 2차 인증을 거쳐야 된다.

 

 

2차 인증의 종류에는 공인 인증, 간 편인즉, 아이 핀 인증, 여기서 말하는 간편 인증은 카카오, KB 국민은행, 페이코, 통신사 PASS, 삼성 PASS, 네이버, 신한은행, 토스, 뱅크 샐러드, 하나은행, NH 인증서를 이용하여 로그인해야 홈페이지 내부에서 민감하게 다루어지는 개인정보의 수정이나 복사까지 허용한다는 이야기가 되므로 취업포털을 제대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아이디 및 앞서 언급한 인증서 및 인증을 위한 휴대폰 역시 없어 면 이용하기가 쉽지 않다.

향후 개선되어야 될 점이 있다면

그러므로 현재 변경된 방식의 워크넷 로그인 방식은 기존의 방식에 한 번 더 인증을 해야 되는 2채널 방식이므로 휴대폰이나 기타 인증서를 등록하지 않거나 지니고 있지 않다면 제대로 이용할 수가 없기 때문에 미리 2차 인증서를 가입해 만들어 두어야 되며, 실수로 로그인한 채로 홈페이지의 창을 닫아 버리면 또다시 번거로운 로그인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않는 사용자나 이해도가 떨어지는 나 같은 사람들은 솔직히 너무 힘들기 때문에 향후에는 복잡다단한 사용자 환경을 탈피하고 되도록이면, 한눈에 바로 직관적으로 알아볼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지향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홈페이지를 운영해 나가는 것이 더 바람직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