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상된 와이어로프는 점검 후 반드시 교체해야
사진은 기초 토공 작업 중 항타작업 서비스 크레인의 와이어로프를 보여주고 있는데, 와이어로프는 누적된 작업의 피로 또는 연속된 근로로 인한 운전원의 피로에 의한 운전 부주의 등에 기인해 상기와 같이 손상이 생길 수 있는데, 찬찬히 점검해 보지 않는 한 쉽게 찾아내기가 어렵다, 또한 중량물을 취급하는 크레인만큼 , 와이어로프의 경미한 손상이라고 하여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손상된 부위의 변형이 심해져 마지막에는 와이어로프가 파단돼 양 중하고 있던 재료와 함께 떨어져 크레인 인근에 근로하고 있던 근로자를 충격한다던지, 아니면 중대한 재산상 피해를 불러일으킬 소지가 충분하기 때문에 관리감독자는 무조건 현장 작업을 중지시키고, 와이어로프를 점검 후 교체해야 된다.(불안정한 상태 제거)
차량계 건설기계류등은 작업 시작 전 사전에 작업계획서 및 중량물 취급 계획서 작성
또한 현장의 관리감독자는 중량물을 취급하거나, 차량계 건설기계를 이용한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당일 작업을 시작하기 전 TBM활동 등 건설기계류 중요부위를 육안점검하고 작업을 시켜야 하며, 작업의 동선과 유도자 및 신호수 배치를 사전에 계획하는 등 중량물 취급 계획서를 작성 검토하여 관리감독자 이하 현장 관계자 전원이 이를 숙지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된다. 마지막으로 작업 중에는 작업에 관계되지 아니한 사람은 장비 반경내 진입을 원천 금지시키고 필요하다면 라바콘 또는 방책 등을 세워 접근금지를 상시로 알려야 된다.
산업안전보건 기준의 규칙
와이어로프 폐기 기준 (건설안전기사 및 산업안전기사) 실기 기출
제210조(이음매가 있는 권상용 와이어로프의 사용 금지) 사업주는 항타기 또는 항발기의 권상용 와이어로프로 제63조제1호 각 목에 해당하는 것을 사용해서는 아니 된다. <개정 2021. 5. 28.>
제63조(달비계의 구조) ① 사업주는 곤돌라형 달비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개정 2021. 11. 19.>
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와이어로프를 달비계에 사용해서는 아니 된다.
가. 이음매가 있는 것
나.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스트랜드(strand)를 말한다. 이하 같다)]에서 끊어진 소선(素線)[필러(pillar)선은 제외한다)]의 수가 10퍼센트 이상(비자전로프의 경우에는 끊어진 소선의 수가 와이어로프 호칭지름의 6배 길이 이내에서 4개 이상이거나 호칭지름 30배 길이 이내에서 8개 이상)인 것
다.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7퍼센트를 초과하는 것
라. 꼬인 것
마. 심하게 변형되거나 부식된 것
바. 열과 전기충격에 의해 손상된 것
2.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달기 체인을 달비계에 사용해서는 아니 된다.
가. 달기 체인의 길이가 달기 체인이 제조된 때의 길이의 5퍼센트를 초과한 것
나. 링의 단면지름이 달기 체인이 제조된 때의 해당 링의 지름의 10퍼센트를 초과하여 감소한 것
다. 균열이 있거나 심하게 변형된 것
3. 삭제 <2021. 11. 19.>
4. 달기 강선 및 달기 강대는 심하게 손상ㆍ변형 또는 부식된 것을 사용하지 않도록 할 것
5. 달기 와이어로프, 달기 체인, 달기 강선, 달기 강대는 한쪽 끝을 비계의 보 등에, 다른 쪽 끝을 내민 보, 앵커볼트 또는 건축물의 보 등에 각각 풀리지 않도록 설치할 것
6. 작업발판은 폭을 40센티미터 이상으로 하고 틈새가 없도록 할 것
7. 작업발판의 재료는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비계의 보 등에 연결하거나 고정시킬 것
8. 비계가 흔들리거나 뒤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계의 보ㆍ작업발판 등에 버팀을 설치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할 것
9. 선반 비계에서는 보의 접속부 및 교차부를 철선ㆍ이음철물 등을 사용하여 확실하게 접속시키거나 단단하게 연결시킬 것
10. 근로자의 추락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 각 목의 조치를 할 것
가. 달비계에 구명줄을 설치할 것
나. 근로자에게 안전대를 착용하도록 하고 근로자가 착용한 안전줄을 달비계의 구명줄에 체결(締結)하도록 할 것
다. 달비계에 안전난간을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인 경우에는 달비계에 안전난간을 설치할 것
② 사업주는 작업의자형 달비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신설 2021. 11. 19.>
1. 달비계의 작업대는 나무 등 근로자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의 재료를 사용하여 견고한 구조로 제작할 것
2. 작업대의 4개 모서리에 로프를 매달아 작업대가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연결할 것
3. 작업용 섬유로프는 콘크리트에 매립된 고리, 건축물의 콘크리트 또는 철재 구조물 등 2개 이상의 견고한 고정점에 풀리지 않도록 결속(結束)할 것
4. 작업용 섬유로프와 구명줄은 다른 고정점에 결속되도록 할 것
5. 작업하는 근로자의 하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진 작업용 섬유로프, 구명줄 및 고정점을 사용할 것
6. 근로자가 작업용 섬유로프에 작업대를 연결하여 하강하는 방법으로 작업을 하는 경우 근로자의 조종 없이는 작업대가 하강하지 않도록 할 것
7. 작업용 섬유로프 또는 구명줄이 결속된 고정점의 로프는 다른 사람이 풀지 못하게 하고 작업 중임을 알리는 경고표지를 부착할 것
8. 작업용 섬유로프와 구명줄이 건물이나 구조물의 끝부분, 날카로운 물체 등에 의하여 절단되거나 마모(磨耗)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로프에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보호 덮개를 씌우는 등의 조치를 할 것
9. 달비계에 다음 각 목의 작업용 섬유로프 또는 안전대의 섬유벨트를 사용하지 않을 것
가. 꼬임이 끊어진 것
나. 심하게 손상되거나 부식된 것
다. 2개 이상의 작업용 섬유로프 또는 섬유벨트를 연결한 것
라. 작업높이보다 길이가 짧은 것
10. 근로자의 추락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 각 목의 조치를 할 것
가. 달비계에 구명줄을 설치할 것
나. 근로자에게 안전대를 착용하도록 하고 근로자가 착용한 안전줄을 달비계의 구명줄에 체결(締結)하도록 할 것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산업안전기사 > 건설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안전기사] 실기 시험에 잘 나오는 전기 충전부 방호조치란? (0) | 2022.10.12 |
---|---|
[건설안전기사] 시험에 잘 나오는 표준안전난간 설치 기준은? (0) | 2022.10.11 |
[건설안전기사] 크레인 및 차량계 건설기계 작업시 준비해야 될 서류가 있다면? (0) | 2022.10.08 |
[건설안전기사] 실기 필기 예시_가설전선 방호조치 (4) | 2022.10.07 |
[건설안전기사] 필기 및 실기 대비 비계 불안정한 발판 (0) | 2022.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