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에서 구조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서포트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서포트는 콘크리트 타설 시 하중을 지지하고,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장비입니다. 그러나 부주의하거나 잘못된 설치, 적재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철저한 관리와 안전수칙 준수가 필요합니다.
1. 서포트 설치 전 점검사항
자재 상태 점검: 서포트를 설치하기 전에 파손, 휘어짐, 부식 등 이상 유무를 철저히 확인해야 합니다. 변형된 자재는 절대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설계 도면 확인: 서포트의 설치 위치, 간격, 높이 등은 구조설계 도면에 맞춰 정확하게 배치되어야 하며, 임의로 변경해서는 안 됩니다.
지면 상태 확인: 서포트가 설치될 지반은 충분히 단단하고 평평해야 하며, 지반이 약한 경우에는 별도의 받침재나 보강조치가 필요합니다.
2. 서포트 설치 시 안전수칙
수직도 유지: 서포트는 수직이 되도록 설치해야 하며, 기울어지거나 비틀리지 않도록 해야 구조물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습니다.
확실한 고정: 상단과 하단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필요 시 띠장이나 클램프를 이용해 흔들림을 방지합니다.
간격 유지: 하중과 설계 기준에 맞춰 서포트 간격을 정확히 유지해야 하며, 간격이 넓으면 붕괴 위험이 커집니다.
중복 적재 금지: 서포트 위에 추가 자재를 임의로 적재해서는 안 되며, 작업 구역 내 불필요한 하중은 반드시 제거합니다.
3. 적재 및 보관 시 주의사항
적재 높이 제한: 자재를 적재할 때는 무게와 균형을 고려하여 너무 높게 쌓지 않도록 주의하며, 전도되지 않도록 바닥이 평평한 곳에 보관합니다.
지지대 보호: 서포트를 장기간 보관할 경우 비와 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녹 방지를 위한 유지관리가 필요합니다.
지정 장소 보관: 자재는 작업자의 동선과 충돌되지 않는 지정된 장소에 보관하며, 작업 중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정리정돈을 유지합니다.
이동 시 안전 조치: 서포트를 현장 내 이동할 때는 장비를 사용하거나 인력을 충분히 확보하여 부상이나 낙하 사고를 방지해야 합니다.
4. 작업자 교육 및 관리
정기적인 교육 실시: 서포트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는 정기적인 안전교육을 받아야 하며, 비숙련자의 임의 작업은 금지해야 합니다.
작업 책임자 지정: 서포트 설치와 관련된 작업에는 반드시 현장 책임자를 두어 작업 상황을 감독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즉시 조치할 수 있어야 합니다.
서포트는 안전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필수 장비이지만, 잘못된 설치나 관리 소홀은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관련 안전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주기적인 점검과 교육을 통해 사고 없는 건설현장을 만들어 나가야 합니다.
'산업안전기사 > 건설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파 GT 36N 안전화 리뷰 - 착용감 굳 (0) | 2025.05.12 |
---|---|
그라인더 불티 방지망, 이렇게 활용하세요 (0) | 2025.05.11 |
건설현장 발코니 안전난간대,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 (1) | 2025.05.10 |
3.3kg 일반 소화기 활용방안 총정리 (1) | 2025.05.10 |
위험구간의 식별조치와 추락방지용 안전망 활용방안 (2) | 2025.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