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건설 현장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풍경이다. 좌우 벽체 거푸집에 콘크리트 타설이 된 후 양생 되는 과정인데, 바닥 역시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을 하고 있는 사진이다. 그리고 계단참 즈음에는 양쪽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해 동바리를 이용해 사선으로 걸쳐 놓은 모습인데, 계단을 오르내리는 주변으로 안전 난간은 아직 설치가 되어 있지 않다, 또한 벽으로 걸쳐 놓은 거푸집 동바리는 콘크리트 타설 시 발생하는 측압에 의해 거푸집이 터지지 않도록 , 지지 해 놓은 것이나, 근로자가 거푸집을 해체하거나, 이동하는 경우 신체에 부딪혀 재해를 당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올바르게 거푸집을 지지하는 방법으로 개선이 필요 하며, 부득이 하게 설치해야 되는 경우에는, 식별력이 뛰어난 주의 경고 표지등을 설치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그리고 상기의 사진 역시도 계단인데. 좌우상하로 시스템 동바리 및 자재가 해체된 채로 널브러져 있으며, 계단 바깥쪽으로 안전 난간 역시 설치가 되어 있지 않아 대단히 위험해 보이는데, 중요한 것은 계단 중앙에 임시로 가설된 전선이 지나가, 충전된 가설 전선으로 인해 작업 중이던 근로자가 감전될 수 있어, 전선보호덥개를 사용하거나, 전용 벽거치대를 사용해 충전된 전기선이 근로자의 신체에 직접 닿아 발생할 수 있는 감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노력을 해야 되며, 전기선등 위험한 개구부 등에는 반드시 근로자에게 위험을 인식할 수 있는 정보를 교육을 통해 제공해 안전한 작업현장 조성을 위해 노력해야 된다.
'산업안전기사 > 건설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안전기사 시스템 비계 발판 미설치로 인한 추락위험 (0) | 2022.11.02 |
---|---|
건설안전기사 틀비계 사용시에는 반드시 안전난간대 체결 해야 (0) | 2022.10.29 |
건설안전기사 시스템 동바리 안전시설 미설치 (0) | 2022.10.24 |
건설안전기사 실기 작업형 실무 이동식 비계 안전조치 미흡 (0) | 2022.10.23 |
건설안전기사 실기 사다리 사용 지침 (0) | 2022.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