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현장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이동식 비계다. 주로 조적 공사나 단열공사, 또는 방수공사, 수장공사, 전기공사, 통신공사, 등 쓰이지 않는 곳이 없다. 만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이름 그대로 조립분해가 용이해 작업이 필요한 개소로 자재를 이동해 척척 조립하면 근로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시설을 구성할 수 있어 건설 현장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약방의 감초와 같은 가설재이며, 중량도 가벼워 적은 비용으로 활용도가 아주 높은 안전시설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하지만, 공정에 따라 빈번하게 자재를 옮기고, 비계를 재설치하는 과정에서 당연히 설치되어야 할 안전 난간을 빼먹고, 개방된 상태에서 곡예 타듯 작업을 하는 경우와, 전도 예방을 위해 당연히 설치되어야 할 아웃 트리 거며, 급기야 현장관리 감독의 소홀을 틈타 기본 보호구조차 착용하지 않고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아주 흔하기 때문에 근로자가 작업을 시작하기 전부터 현장 관계자는 근로자가 기준에 맞게 비계를 설치하고 작업을 시작할 수 있도록 일상점검을 통해 관리되어야 될 중요한 부분이다.
이동식 비계에서 발생하는 재해의 종류
⑴ 추락
① 바퀴 스토퍼 미설치,
②상부 작업 발판 안전 난간 미설치
③ 근로자 승강용 설비 미설치
④작업 근로자가 비계에 탄 채 이동
⑤작업 발판 미 고정
⑵ 도괴·파괴
①비계 파이프 불량 조립 및 미흡
②상부에 자재 등 적재 과다
③밑변 길에의 비하여 설치 높이가 과도할 때
⑵낙하, 비래
①발끝 막이 판 미 설치
②상하 동시 작업
'산업안전기사 > 건설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안전기사 현장정리 불량 및 고압산소 용기 방치 (0) | 2022.11.05 |
---|---|
건설안전기사 시험에 출제되는 항타기 조립 해체 시 점검사항. (0) | 2022.11.04 |
건설안전기사 철골공사 작업 시 작업을 중지해야 되는 기준? (1) | 2022.11.03 |
건설안전기사 시스템 비계 발판 미설치로 인한 추락위험 (0) | 2022.11.02 |
건설안전기사 틀비계 사용시에는 반드시 안전난간대 체결 해야 (0) | 2022.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