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열쇠 등으로 분전함을 잠가두지 않고 사용을 하면, 근로자 입장에서는 편리한 이점이 있을지 모르나, 관리자 입장에서는 심기가 불편해질 수밖에 없다, 게다가 관할 지청의 불시점검으로 지적받는 경우에는 시정과 함께 페널티가 주어질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그리고 관리가 허술한 분전함은 무분별한 부하의 연결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분전함은 항상 잠가두고 불필요한 부하가 연결되어 동절기 화재나, 감전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재해를 예방하는 올바른 방법이다.
또한 분전함의 하부는 외력에 의해 쓰러지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을 해두어야 하고, 주변에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소화기 역시 비치해 두는 것이 좋고, 소화기와 분전함은 점검 태그를 부착해 두어 매월 정기점검을 실시해야 된다.
끝으로 충전된 분전함 주변에는 불필요한 자재 등을 적재하지 못하도록 사전에 방호 펜스를 설치하거나, 전기 위험을 알리는 경고성 문구를 작업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게시하는 것이 좋으며, 분전한 주변의 가설 전선은 근로자나, 건설용 기계가 이동하는 동선을 피해 설치해 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방호를 해양 안전하므로, 현장 여건상 바닥에 전선을 포설한 경우에는 반드시 규격에 알맞은 전선 보호 커버를 사용하거나, 습윤한 장소를 피하는 것이 좋다.
728x90
반응형
'산업안전기사 > 건설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게차 안전작업 계획서 양식 (0) | 2022.12.23 |
---|---|
건설안전기사 휘어진 안전펜스와 밀폐공간 작업 (0) | 2022.12.07 |
건설안전기사 이동식 비계등 고소작업시에는 위험을 반드시 제거 한 수 작업을 실시해야. (0) | 2022.11.22 |
하인리히 1. 29 .300 사고 구성 비율이란? (0) | 2022.11.19 |
건설안전기사 개구부 방호조치 및 위험물은 지정된 장소에 보관 (0) | 2022.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