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건설 현장의 대부분의 작업은 중량물과, 중장비가 동원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인력으로 옮기기 힘든 대형 구조물의 하역이나, 상차 작업등은 지게차를 이용한 작업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어 편리한 점도 있으나, 동시에 심각한 사고의 위험도 도사리고 있으므로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사전에 작업계획서를 작성 검토한 후 작업을 시작하는 것이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위험을 대비할 수 있다.
또한 지게차로 운반되는 화물의 대부분 운전자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어 운전 중 운전원의 시야가 제대로 확보되지 못한 채로 운행이 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유도자를 배치해 지게차 운전원은 유도원의 알맞은 신호에 따라 운행할 수 있도록 하여야 되고, 당일 작업을 시작하기 전 관리감독자는 안전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 될 수 있다.
게다가 지게차의 작업 중 후진 시에는 후진 경보기 등을 설치하여 주변에서 근로를 하고 있는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좋은 방법이며, 후방감지기 등을 추가로 설치하여 지게차 후미에 갑작스러운 물체나 사람이 운행 중인 지게차에 접근하는 경우 지게차가 정지하도록 만드는 것도 안전사고 예방이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728x90
반응형
'산업안전기사 > 건설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담당자 지정 대상작업 (0) | 2022.12.28 |
---|---|
산업재해조사표 양식 및 건설안전종합정보망 사고 보고서 양식 (0) | 2022.12.27 |
건설안전기사 휘어진 안전펜스와 밀폐공간 작업 (0) | 2022.12.07 |
건설안전기사 현장 분전함 관리 시 주의사항 (0) | 2022.11.27 |
건설안전기사 이동식 비계등 고소작업시에는 위험을 반드시 제거 한 수 작업을 실시해야. (0) | 2022.11.22 |